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자 율릭 나이서의 기억에 대한 연구

by 노트정리맨 2024. 8. 26.
반응형

율릭 나이서(1928년 12월 8일~2012년 2월 17일)는 독일출신의 미국 심리학자로 '인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인물입니다. 나이서는 기억과 지각에 대한 연구를 했습니다. 1967년 <인지심리학>이란 책을 출간해 인지심리학의 기초를 닦았으며, 이 책으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당시 행동주의의 영향으로 인지과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분위기를 변화시켰고, 인지의 중요성 및 사람의 정신적 활동과정의 연구 및 측정 가능성을 새롭게 발견하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밖에 기억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사람의 기억이란 주관적인 입장에 따라 왜곡되거나 편향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1. 율릭 나이서 출생과 성장

나이서는 1928년 12월 8일 독일 킬이라는 지역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유명한 유대인 경제학자였으며, 어머니는 사회학을 전공한 여성 운동가였습니다. 나이서의 아버지는 히틀러의 군사독재를 에상해서 1933년 독일을 떠나 영국으로 갔습니다. 그 후 1933년 9월 15일에 미국 뉴욕으로 갔습니다.

 

율릭 나이서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했으며, 최우수학생으로 졸업했습니다. 그는 게슈탈트 심리학의 창시자 중 한명인 볼프강 콜러 교수가 있던 스와스모어 대학에서 석사 과정을 공부했습니다. 그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정신물리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1년동안 하버드 대학에서 강사로 일을 했습니다. 이후 코넬 대학, 스탠포드 대학교 등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였습니다 

 

2. 일과 경력

나이서는 <인지화 현실>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인지 심리학 분야에 대한 3가지 비판을 했습니다. 첫번째, 그는 인지 심리학자들이 사용하는 전문화된 정보 처리 모델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불만을 표시했습니다. 두번째, 인지 심리학이 인간 행동의 일상적인 측면과 기능을 다루지 못한다고 보았습니다. 나이서는 실패의 원인을 인지심리학의 풍토병이 된 인공 실험실에 대한 지나친 의존에 크게 지적했습니다. 그는 인지 심리학이 실험실 실험에 의해 테스트된 행동이론과 셀제 행동사이에 큰 단절이 있다고 느꼈습니다. 세번째로, 그는 유명한 지각 심리학자 JJ.깁슨과 그의 아내가 제안한 정보수집 이론과 직접 지각 이론에 대한 큰 존경심을 느꼈습니다. 나이서는 인지 심리학이 인지 심리학은 인간 행동을 지각하는 유기체가 직접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의 분석에서부터 시작해야 이해할 수 있다는 견해를 주의깊게 보지 않고는 잠재력을 달성할 희망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3. 기억에 대한 연구

나이서는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는 견해인 기억이 과거의 수동적 재생산이 아니라 구성의 능동적 과정을 나타낸다는 의견을 초기에 주장한 사람입니다. 이 개념은 리처드 닉슨 증언에 대해 나이서가 분석을 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딘의 직접적 증언에서 얻은 기억과 딘이 참여해 녹음된 대화를 비교합니다. 나이서는 녹음된 대화를 비교하자 딘의 기억이 대체적으로 부정확하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먼저, 딘의 기억이 자기 중심적인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진행중인 사건에 대해 자신의 역학을 강조하는 항목을 선택했습니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딘은 다른 시간에 발생한 사건들의 조합을 하나의 실제 기억으로 결합했다는 점입니다.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는 실제로 반복되는 일련의 사건을 나타낸다'라고 말했듯이 나이서는 기억의 오류가 일반적이며 구성 과정에서 기억의 특성이 반영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나이서는 챌린저 폭발사고 후 대학 신입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어디에, 누구와 함께, 몇시에 있었는지 등 챌린저 폭발에 대한 주요 정보를 적도록 했습니다. 3년 후 기억의 정확성 조사를 위해서 동일 조사자들에게 동일한 질문으로 설문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의 확신에도 불구하고 기억의 정확성에는 오류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기억이란 것은 당사자의 입장과 주관에 따라 편향되거나 왜곡될 수 있고, 심지어 자신의 기억이 정확하지 않을 때도 개인 성향에 따라 확신을 가질 수 도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응형